경제신문은 경제 공부의 기초다.
일주일 중 최소 5일은 스크랩을 꼭 진행하기로 마음먹고 글을 작성하려고 한다.
스스로 지켜야 할 점들을 나열하고 진행해야지!
※ Must DO!!
- 경제신문 기사는 2개를 목표로 진행 중이다.
- 30분 이내로 완료할 것을 목표로 한다.
- 투자 관점과 질문에 많은 시간을 사용한다.
경제신문 스크랩 내용
1. 핵심 내용 구조화 : 무엇을 / 왜 / 어떻게
2. 용어 정리 : 모르는 용어 정리하기
3. 궁금한 점에 대한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
4. 투자에 관한 의견
스크랩 1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15/0005003735?date=20240701
"이자 싸게 해줄게" 돈 풀더니 '태세 전환'…기업들 '초비상'
최근 3년 새 기업대출을 40조원 넘게 늘리며 ‘기업금융 경쟁’을 촉발한 하나은행이 하반기부터 신규 기업대출을 조이기로 했다. 은행권의 과당 경쟁에 따른 수익성 하락과 연체율 상승 등 건
n.news.naver.com
📰 핵심 내용 구조화
WHAT
- 최근 3년 새 기업대출을 40조 원 늘리며 기업금융 경쟁 촉발한 하나은행이 하반기부터 신규 기업대출을 조이기로 했다
WHY
- 은행권의 과당 경쟁에 따른 수익성 하락과 연체율 상승 등 건전성 우려
HOW
- 일정 금리 수준을 밑도는 기업대출 내주지 않기로 했다.
- 기업대출 확대되며 역마진 대출이 속출했다. 출혈 경쟁에 따른 부실 대출 증가하며 연체율도 증가했다.
- 중국 중동의 거센 추격 받는 석유화학, 부동산 경기 침체 여파에 흔들리는 건설과 건축자재 업종 기업 다수의 신용도 강등
- 중소기업 저금리 대출 늘어나고 홍콩 H지수 ELS 손실까지 겹치며 자본 건전성 지표인 보통주자본비율도 악화됨
📖 용어 정리
- 조달금리 : 기업이나 금융기관이 자금 조달할 때 부담하는 이자율 의미한다. 쉽게 말하면 예금 금리다.
그러니까 금융기관은 예대마진으로 수익을 얻는데 대출해 주는 금리가 예금 금리보다 낮아 수익이 나지 않는 상황을 가져올 수 있는 게 역마진 대출이다.
🧐 질문❔
레고랜드 사태에 금융기관의 전조현상 같은게 있었나?
😎 답변 ❗
- 금융기관은 레고랜드 사태 전에는 저금리 정책과 완화된 대출 규제 등 적극적으로 대출을 확대 중이었다.
- 하지만 부동산 PF에 대한 우려가 컸고 지방정부의 재정 압박이 심했다. 채무불이행 가능성도 증가되었다.
💡 투자에 적용할 점
지금 뭔가 레고랜드 사태와 비슷하게 흘러가는 것 같다.
한 두 달 전에는 PF 부실문제가 온 기사를 다 도배했는데, 이제는 금융회사가 연체율이 높아짐에 따라서 기업대출을 줄인다는 기사가 나오고 있다.
정말 중소기업부터 큰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하면서 어떤 문제가 생길지 걱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금성 자산을 어느 정도 두고 흐름을 지켜보며 레고랜드와 동일한 사태가 벌어질지, 아니면 금리 인하에 따른 움직임에 의해 기업과 금융회사에 변화가 찾아올지 변화를 지켜보고 데이터를 쌓아야겠다.
스크랩 2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15/0005003738?date=20240701
현대차 임원들, 중국 갔다가 '충격'…파격 '승부수' 띄웠다
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 실리콘밸리에 소프트웨어(SW) 연구소를 설립한다. 자동차 경쟁력의 중심축이 하드웨어(HW)에서 SW로 바뀌는 점을 감안해 세계 최고 프로그래머가 몰려 있는 실리콘밸리에
n.news.naver.com
📰 핵심 내용 구조화
WHAT
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 실리콘밸리에 SW 연구소 설립한다.
WHY
자동차 경쟁력 중심이 HW에서 SW로 바뀌고 있다.
HOW
- 향후 자동차는 움직이는 스마트폰이 될 것.. SW에서 전쟁 승부 난다.
- 현차는 차량 운영시스템 OS, 인포테인멘트 시스템, 자율주행 시스템, 해킹 방지 시스템 등 각종 SW 개발 중
- 중국 전기차회사, 테크회사까지 SDV(소프트웨어중심차량)에 올인하고 있다.
- 몇 안 되는 자체 OS 갖춘 완성차회사지만 알고리즘 분야에서는 중국 전기차회사에 밀리고 있다.
📖 용어 정리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정보와 오락(information + entertainment) 합성어.
자동차에 탑재되어 다양한 정보 제공과 오락 기능 수행하는 시스템.
네비게이션, 오디오/비디오 재생, 전화, 차량 상태 정보 제공, 인터넷 연결, 음성 인식 등의 주요 기능이 있다.
이 시스템은 터치스크린, 음성, 물리적 버튼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 통해 조작되며 스마트폰과 연동으로 더욱 다양한 기능 제공.
🧐 질문❔
😎 답변 ❗
💡 투자에 적용할 점
요즘 테슬라를 공부하고 있다.
전기차의 시장이 주춤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요즘 시대에 전기차 공부를 더욱 많이 해야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현대차가 이런 전기차 시장에 뛰어들기 위해 SW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는 것은 언젠가는 전기차 시장이 다시 2차 붐으로 오지 않을까 생각한다. 지금의 AI 붐에 힘입어 자동차 업계에도 큰 변화가 찾아올 것 같다.
꾸준히 테슬라와 전기차 관련 SW 기업에 대한 분석과 공부가 필요해 보인다.
'경제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경제신문] 국민은행, 주담대 금리 인상 & 빅테크 전력 직접 구매(24.07.03) (0) | 2024.07.03 |
---|---|
[한국경제신문] 국내 방위산업 전투기 엔진 독자 개발 & 캐나다 오일샌드 개발 (24.07.02) (0) | 2024.07.02 |
[한국경제신문] 네이버웹툰 상장 & 아파트 값 계속 상승(24.06.28) (0) | 2024.06.28 |
[한국경제신문] 중국의 자율주행 기술력 & 브릭스 가입 희망국 증가(24.06.7) (0) | 2024.06.27 |
[한국경제신문] 탠덤 OLED의 급성장 & SK팜테코 미국공장 매각(2024.06.26) (0) | 2024.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