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신문 스크랩

[한국경제신문] 중국의 자율주행 기술력 & 브릭스 가입 희망국 증가(24.06.7)

by 트리플S 2024. 6. 27.
반응형

경제신문은 경제 공부의 기초다.

일주일 중 최소 5일은 스크랩을 꼭 진행하기로 마음먹고 글을 작성하려고 한다.

스스로 지켜야 할 점들을 나열하고 진행해야지!

※ Must DO!!

- 경제신문 기사는 2개를 목표로 진행 중이다.

- 30분 이내로 완료할 것을 목표로 한다.

- 투자 관점과 질문에 많은 시간을 사용한다.

경제신문 스크랩 내용

1. 핵심 내용 구조화 : 무엇을 / 왜 / 어떻게

2. 용어 정리 : 모르는 용어 정리하기

3. 궁금한 점에 대한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

4. 투자에 관한 의견

 

📰 핵심 내용 구조화

WHAT

- 중국이 초고속 통신 인프라 삼아 자율주행, 스마트 공장, 저전력 데이터센터 등 첨단산업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있다.

WHY

-

 

HOW

- 특히 데이터 학습 + 차량 + 도로 인프라 => 자율주행

- 화웨이는 자율주행 시스템 적용한 전기차 1억 원인데도 2만 대가 팔렸다. 

- 화웨이의 5.5G 통신은 5G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배 이상 빠른데 올해 상용화 목표로 20여 개 세계 도시에서 검증 중

 

​📖 용어 정리

-

 

🧐 질문❔

저궤도 위성 톈퉁이 뭐야? 스페이스 X 저궤도 위성이랑 비슷한 기술력이야?

😎 답변

톈퉁은 중국의 위성 통신 시스템이다. 확실하게 말하면 지구 저궤도보다는 더 높은 지구 정지궤도에 위치한 위성을 사용한다.

스타링크와의 기술력 차이에 대해 알아본 바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스타링크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있다. 정지궤도 위성은 35786 km 정도 떨어진 고도에 있다. 반면에 저궤도 위성은 약 300~1200 km의 고도에 위치한다.

웨성 수도 굉장히 차이가 많이 난다. 아직 기술력으로는 따라잡기 어려워 보인다.

서비스 또한 중국의 위성은 위성 전화와 데이터 통신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스타링크는 전 세계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

💡 투자에 적용할 점

​중국 시장은 진짜 어디까지 발전할지 무섭다.

특히 데이터 사용에 대한 특별한 보호 정책이 없고 마음대로 가져다 쓸 수 있어서 테슬라도 중국 데이터 시장을 넘볼 정도의 시장인데 AI의 가장 중요한 학습을 위해서는 상당한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고 중국은 이것을 정말 많이 가지고 있다.

전기차 시장이 죽고 있다고 하지만 중국의 전기차 시장이 이 정도 화력을 가지는 줄 몰랐다. 


스크랩 2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15/0005002268?date=20240627

 

UAE·사우디도 "끼워줘요"…브릭스 합류희망 40국 줄섰다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5개국 중심의 신흥 경제국 연합체 브릭스(BRICS)가 신규 가입을 원

n.news.naver.com

 

📰 핵심 내용 구조화

WHAT

BRICS에 가입하고 싶어하는 국가가 많아지고 있다.

WHY

- 반서방 행보보다는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등거리 외교 전략에 가깝다.

- 달러 중심의 국제 금융시스템 극복을 위해

HOW

- 튀르키예, 태국, 말레이시아 등 가입 의사가 넘치는 국가들이 많다. 

- 이전에는 다른 국가의 가입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이제는 입장을 전향적으로 바꿨다. 

​- 브릭스 회원국은 세계은행이나 국제통화기금을 대체할 자체 개발은행을 설립하고 세계 무역 시장에서 달러화 사용 줄이기로 의견 모았다.

​📖 용어 정리

등거리 외교 전략

🧐 질문❔

 

😎 답변

 

💡 투자에 적용할 점

이들은 달러에 대항하는 디지털화폐를 만들어 기축통화를 바꾸려는 계획이 있다고도 들었다. 이전에는 서방 국가에 대한 도전이 단순히 무모하고 반사회적인 느낌이었다면, 미국의 국채가 쌓이고 달러에 대한 신뢰가 줄어드는 가운데 페트로달러까지 파기되어 달러의 신뢰도에 영향이 생긴다면 이 부분을 놓치지 않고 브릭스 국가 중심의 큰 변화가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 변화에서 미국이 뒤쳐진다던지 이런 것이 아니라 단순히 미국vs중국의 구도였던 세계 경제전쟁이 범위가 커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안고 브릭스 관련 국가들의 행보를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