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기사 스크랩

[한국경제] 트럼프 관세에 EU-남미 손잡기 & 멕시코 관세가 기아/현대에 기회(24.12.09)

by 트리플S 2024. 12. 9.
반응형

경제신문은 경제 공부의 기초다.

일주일 중 최소 5일은 스크랩을 꼭 진행하기로 마음먹고 글을 작성하려고 한다.

스스로 지켜야 할 점들을 나열하고 진행해야지!

※ Must DO!!

- 경제신문 기사는 2개를 목표로 진행 중이다.

- 30분 이내로 완료할 것을 목표로 한다.

- 투자 관점과 질문에 많은 시간을 사용한다.

경제신문 스크랩 내용

1. 핵심 내용 구조화 : 무엇을 / 왜 / 어떻게

2. 용어 정리 : 모르는 용어 정리하기

3. 궁금한 점에 대한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

4. 투자에 관한 의견

스크랩 1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15/0005067310?date=20241209

 

손잡은 EU·남미 4개국…세계 GDP 25% 넘는 공동시장 출범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유럽연합(EU)과 남미공동시장(메르코수르·MERCOSUR)이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기 위한 협상을 마무리했다.

n.news.naver.com

 

📰 핵심 내용 구조화

WHAT

-유럽연합과 남미공동시장이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기 위한 협상을 마무리했다.

WHY

- 공정성과 상호 이익에 기반해 양측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 큰 혜택을 가져다줄 윈윈 협정을 끌어내기 위함

 

HOW

-메르코수르 회원국은 소고기 등 농축수산물의 대유럽 수출 많아질 것

- eu는 자동차/의약품 등의 수출에서 약 40억 유로 상당의 관세 절감 가능

- 공급망 다각화, 재생에너지 기술과 저탄소 연료 개발 촉진, 무역 특혜 보장, 중소기업 대외 교역 지원, 글로벌 친환경 전환에 필수적인 원자재 확보 등에 효과 있을 것

- 협상은 마무리됐으나 협정 체결과 발효를 위해서는 EU 27개국 모두가 지지해야 하기에 난항이 예상된다.

- 프랑스는 불공정 경쟁에 따른 자국 농축산업계 피해 우려 이유로 협정 완강히 거부하고 있다. 

- 이탈리아는 농민에 대한 보상 요구하나 공식적인 반대는 안 하고 있다.

​📖 용어 정리

- 메르코수르 : 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우루과이 등 4개국이 무역 장벽을 전면 철폐해 1995년 출범.

 

🧐 질문❔

트럼프 1기 떄에도 이러한 협상이 있었나?

😎 답변

- 이들은 1999년에 협상 시작했고 20년 넘게 논의가 이루어졌다.

- 상품 및 서비스의 무역 자유화, 관세 철폐, 환경 및 노동 기준 준수 등을 포함한 포괄적 경제 협정 체결하는 것

- 트럼프 1기 때에는 이들 협상에 직접적으로 개입하거나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 브라질 아마존 열대우림 파괴 문제로 인해 EU 내부에서 협정 비준 반대 여론이 강했고 EU 농업과 경쟁을 일으킬 수 있음을 우려함.

💡 투자에 적용할 점

​유럽의 농업 관련 문제는 굉장히 민감하게 다루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협상도 EU 국가를 모두 다룰 수 있을까 생각이 들긴 한다.

하지만 미국의 관세 정책이 더 강해지고 견고해질수록 다양한 국가들이 이러한 동맹을 위한 발걸음을 더 디딜 것 같다.

이러한 상황들을 보고 어떤 국가들이 해결책을 마련하고 살아남을지 보고 투자 시장을 넓혀갈 필요가 있다.


스크랩 2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15/0005067304?date=20241209

 

"멕시코 25% 관세, 현대차·기아에 기회될 수도"

멕시코산 수입품에 관세 25%를 물리겠다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이 현대자동차·기아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현대차와 기아의 경쟁 업체들이 훨씬 더 많은 멕시코산 자동차를

n.news.naver.com

 

📰 핵심 내용 구조화

WHAT

멕시코산 수입품에 관세 25% 물리겠다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이 현대차/기아에 기회가 될 수 있다.

WHY

현대차와 기아의 경쟁 업체들이 훨씬 더 많은 멕시코산 자동차를 미국에 수출하고 있기 때문

HOW

- 멕시코에 공장을 둔 15개 글로벌 완성차 회사는 지난해 90%를 미국 등 해외에 수출했다.

- 멕시코 생산량이 많은 빅 3은 제너럴모터스, 닛산, 포드가 있고 폭스바겐, 마쓰다, BMW도 상당한 멕시코 시장 규모를 가지고 있다.

- 경쟁사에 비해 현대차와 기아의 멕시코 생산 물량과 미국 수출 물량이 상대적으로 적다.

- 멕시코에 공장 지으려던 BYD와 테슬라가 계획 취소하면 기아의 몸값이 올라갈 수 있다.

- 현대차는 멕시코에 공장 없고 미국 조지아에만 지어든 상태

 

🧐 질문❔

현대차와 기아차의 수출국 비중 높은 순서로 어디가 있나?

😎 답변

- 미국 : 현대차의 최대 시장 중 하나. SUV와 전기차가 인기다.

- 유럽 : 독일, 영국, 프랑스 등에서 아이오닉 EV와 코나 등의 친환경 차량이 강세를 보인다.

- 중국 : 중요한 시장이나 최근 몇 년간 현재 경쟁사와의 경쟁으로 점유율 감소

- 인도 : 현대차의 주요 생산기지이자 수출 허브, 소형차와 SUV 모델이 특히 잘 팔린다.

💡 투자에 적용할 점

멕시코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이러한 기업들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미국의 여러 기업들의 상황도 안 좋게 만들 수 있다.

미국은 이미 멕시코에 다양한 공장들이 있고 니어쇼어링 등을 고려한 투자를 많이 해왔다.

멕시코에 대한 관세 적용이 미국에도 안 좋은 영향을 주지 않을까..?

이 정책이 실제로 실행될까 의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