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정리

주식에서 기업분석보고서의 중요성, 재무제표 말고 이걸 보라!

by 트리플S 2024. 12. 27.
반응형

기본적 분석은 기업의 가치 자체를 분석하고 공부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주가를 예측하고 향후 주가가 오를 유망한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다.

우리는 기본적 분석을 통해 기업의 가치가 얼마나 되는지, 어떤 기업이 저평가되어 있고 언제 매도를 해야 하는지 분석을 하게 된다.

하지만 기본적 분석은 한계가 있다.

주식 자체가 나타낼 수 없는 요소들도 있을 것이고, 산업 섹터 전체의 분위기나 시장 분위기 자체를 보기도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여러 증권사에서는 애널리스트들이 기업분석보고서를 제공한다.

여기에서는 기업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목표 주가나 향후 주가 추이들을 정리해두곤 한다.

하지만 여기에도 문제점이 있다.

우선 대부분의 보고서가 기업의 가치만 분석하기 때문에 시장의 환경과 분위기를 제외하고 분석한다.
아무리 기업의 미래가 밝더라도 경제 상황이나 산업 섹터의 업황 자체가 나쁘면 주가가 하락할 수 있다.

이전 글에서 기본적 분석에 대한 기본 내용을 다룬 적이 있다.

2024.12.26 - [경제용어 정리] - 차트 기술적 분석의 기초 내용

 

차트 기술적 분석의 기초 내용

모든 주식은 각자의 가치와 그에 따른 주가가 따르기 마련이다.그렇기에 우리는 기본적 분석에서 다양한 내용들을 배운다. 하지만 어떤 분야건 사람이 투자를 하는 종목이다.이는 사람의 심리

kksy88.tistory.com

 



하지만 이전 글에도 말했듯이 기술적 분석만 가지고 투자를 할 수도 없다.

따라서 우리는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을 모두 활용해서 투자를 하는 것이 좋다.

재무제표 공부하는 것 좋다!
하지만, 재무제표는 공부하기 어렵고 이걸 시작으로 공부하면 주식 공부가 재미없어지고 시작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기업분석보고서를 읽는 방법을 알아보자.

기업분석보고서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용어들을 먼저 알아보자.

- Q : quarter 분기(2Q21 은 2021년 2분기를 의미한다)
- H : Half 반기
- F : Forecast 전망
- E : Estimate 추정
- A : Actual 확정
- P : Provisional 잠정
위 네개는 실적의 전망 / 추정 / 확정 / 잠정을 의미한다.

- Peer : 피어, 동종기업
- CAGR : Compound Annual Growth Rate 연평균성장률
- TP : Target Price 목표주가
- CP : Current Price 현재주가
- yoY : Year on Year 전년동기 대비 증감율
- QoQ : Quarter on Quarter 전분기 대비 증감률
- MoM : Month on Month
- Fwd : Forward 선행
- Earning : 기업 실적
- Earning Season : 기업 실적 발표 기간
- Consensus : 컨센서스, 애널리스트가 제시한 실적 수치의 평균

투자의견이 “Not Rated”라는 것은 해당 종목에 대해 우호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지만 주가 변동성으로 인해 적정 목표주가를 제시하기 곤란하다는 의미다.

보통 시가총액이 적은 기업에 많이 부여되는 등급이다.

시가총액이 적으면 거래량이 적어 수급에 따라 주가가 급등락 하기 때문에 적정 목표주가를 제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렇게 등록을 한다.

실적 전망을 나타내는 지표도 중요하다.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상태나 경영성과 등을 보여주는데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등 다양한 종목들이 있어 이해하기 어렵다.

여기서 봐야 할 것들을 대충 정리해 보자.

우선 영업이익과 매출액은 계속 증가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모든 기업이 영업이익이 흑자일 수는 없다. 그렇기에 여기서 적자에서 흑자전환을 성공한 기업을 보는 것이 좋다.

ROE 또한 매년 증가하는 것이 좋다. PER, PBR도 마찬가지이지만 과거에는 높았다가 미래 영업이익 증가가 예상되어 낮아지는 것이 좋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