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트리플 S입니다.
오늘은 민영주택 청약에서 중요한 두 가지 당첨 방식, 가점제와 추첨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민영주택 청약은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이 두 가지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당첨 확률을 높이는 데 중요한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럼, 가점제와 추첨제의 개념과 각각의 비율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까요?
민영주택 청약이란?
민영주택은 민간 건설업체가 공급하는 주택으로, 시장 논리에 따라 분양가가 책정되는 주택이에요.
민영주택 청약은 소득에 상관없이 누구나 청약할 수 있으며, 경쟁률이 높아 당첨이 쉽지 않아요.
추첨제와 가점제란?
민영주택 청약에서 당첨자를 선정하는 방식에는 추첨제와 가점제가 있어요. 각각의 방식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가점제
가점제는 청약 신청자의 점수를 산정하여 높은 점수를 받은 순서대로 당첨자를 선정하는 방식이에요.
점수는 청약 가점제로 산정되며, 총 84점 만점이에요. 가점 항목은 다음과 같아요
- 무주택기간
무주택 기간은 미혼인 경우 만 30세부터 기간을 산정해요. 미혼이라면 만 45세가 되었을 때 만점인 32점을 채울 수 있게 되는 것이죠!
- 부양가족수
부양가족 수가 많을수록 높은 점수를 받게 돼요!
- 6명 이상: 35점
- 5명: 30점
- 4명: 25점
- 3명: 20점
- 2명: 15점
- 1명: 10점
- 청약통장 가입 기간 (17점 만점)
청약통장 가입 기간이 길수록 높은 점수를 받게 돼요.
- 15년 이상: 17점
- 10~14년: 15점
- 5~9년: 10점
- 3~4년: 6점
- 1~2년: 3점
- 1년 미만: 1점
- 배우자 청약통장 가입기간
이 점수는 최대 3점까지 인정되지만 통장가입기간 점수와 합해서 17점이 최대 점수임을 알고 계셔야 해요!
제가 그냥 최대 점수를 받으려고 계산을 해서 넣어보았는데요..!
결과가 이렇게 만점인 84점으로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자신의 청약가점을 계산하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세요! 청약홈 홈페이지입니다 ㅎㅎ
https://www.applyhome.co.kr/ap/apg/selectAddpntCalculatorView.do
https://www.applyhome.co.kr/ap/apg/selectAddpntCalculatorView.do
www.applyhome.co.kr
꾸준히 무주택 상태를 유지하고,
청약통장에 장기간 저축하며,
부양가족 수를 늘리는 것이 중요해요.
추첨제
추첨제는 가점과 관계없이 무작위로 당첨자를 선정하는 방식이에요. 추첨제는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적용돼요:
- 1순위에서 남은 물량: 1순위 가점제에서 남은 물량은 추첨제로 선정돼요.
- 일부 주택의 특별 공급: 일부 민영주택은 특별 공급으로 추첨제를 실시하기도 해요.
추첨제는 운에 의존하기 때문에 가점이 낮더라도 당첨될 가능성이 있어요.
여기서도 알 수 있듯이 1순위 조건은 만족해야 한다는 점!!
1순위 조건을 확인하려면 아래 글을 참고해 주세요!!
2024.07.27 - [부동산 공부] - [부동산 청약]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차이점과 1순위 조건! 이거는 알고 청약하자!
[부동산 청약]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차이점! 이거는 알고 청약하자!
안녕하세요, 트리플 S입니다. 부동산 청약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이라는 용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이 두 가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오늘은 국민주택과 민
kksy88.tistory.com
3. 민영주택 청약 전략
민영주택 청약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가점제와 추첨제에 대한 이해와 전략이 필요해요.
- 가점제 전략:
- 청약통장 조기 가입: 청약통장은 일찍 가입할수록 유리해요. 가입 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수가 높아지니까요.
- 무주택 기간 유지: 무주택 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은 점수를 받기 때문에 무주택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요.
- 부양가족 수 늘리기: 부양가족 수가 많을수록 점수가 높아지므로, 가족 구성원을 포함시키는 것도 전략이에요.
- 추첨제 전략:
- 다양한 주택 청약 시도: 가점이 낮다면 추첨제를 노려볼 수 있어요. 여러 번 청약을 시도하다 보면 당첨될 가능성이 높아져요.
- 특별 공급 기회 활용: 특별 공급으로 나오는 물량은 추첨제로 당첨될 수 있으므로, 특별 공급 기회를 잘 활용해 보세요.
결론
민영주택 청약에서 가점제와 추첨제는 각각 다른 당첨 방식을 가지고 있어요.
가점제는 높은 점수를 통해 당첨 확률을 높이는 방식이고, 추첨제는 무작위로 당첨자를 선정하는 방식이에요.
자신의 상황에 맞는 청약 전략을 세우고, 필요한 정보를 꼼꼼히 확인하여 성공적인 청약을 이루시길 바랄게요ㅎㅎ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청약]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차이점과 1순위 조건! 이거는 알고 청약하자! (0) | 2024.07.27 |
---|---|
[부동산 청약] 2024년 청약통장 저축총액 계산 방법!! 월 10만원을 넣는 이유 (0) | 2024.07.27 |
[부동산 용어] 부린이 필수 지식! 공시지가, 공시가격, 매매수급지수.. 이게 무슨 뜻이야? (0) | 2024.07.21 |
[부동산 용어] 등기사항전부증명서(등기부등본), 이거 모르면 손해 보는 정보 정리!(개념, 활용, 열람 방법) (1) | 2024.07.21 |
[부동산] 쉽게 정리한 등기부등본 발급 / 열람하는 방법! (0) | 2024.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