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공부

[부동산 청약] 2024년 청약통장 저축총액 계산 방법!! 월 10만원을 넣는 이유

트리플S 2024. 7. 27. 17:49
반응형

안녕하세요, 트리블 S입니다

 

오늘은 청약통장 저축총액 계산 방법과 월 10만 원을 꾸준히 넣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특히, 공공주택 청약에서 성공하기 위한 전략도 함께 살펴볼게요.

 

청약통장 저축총액이란?

청약통장 저축총액은 청약저축(주택청약종합저축) 계좌에 매달 납입한 금액의 총합을 의미해요.

출처 : unsplash.com

 

이 저축총액은 청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요.

 

청약에서 특히, 공공주택 청약에서 당첨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매달 꾸준히 일정 금액을 납입하는 것이 필수적이에요.

왜 월 10만원을 넣는 걸까요?

청약저축의 경우,매월 2만 원 이상 50만 원 이하 금액을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지만!

월 최대 인정 금액이 10만원으로 제한되어 있어요.

즉, 매달 10만원을 초과해서 넣더라도 청약 점수에 반영되는 금액은 10만 원까지만 인정된답니다.

 

주의할 점! 이 방식의 저축 총액 인정 금액은 국민주택 대상이라는 점!

민영주택 청약은 한 번에 넣더라도 금액만 맞으면 인정이 돼요!

 

그렇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월 10만원을 꾸준히 납입하는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죠.

 

하지만!! 2024년에는 9월부터는 최대 인정 금액이 늘어날 예정이에요!!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144644.html

 

청약통장 월 인정액 10만원→25만원…올해 하반기부터

올해 9월부터 주택청약종합저축통장(청약통장) 월납입 인정한도가 기존 10만원에서 25만원으로 오른다. 국토교통부는 14일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을 개정해 올해 9월부터 청약통장에 월납입

www.hani.co.kr

 

지금의 2.5배인 25만원까지 월 최대 인정 금액이 늘어날 수 있게 됐어요!

 

이렇게 되면 늦게 청약 통장을 개설했더라도 총 납입금액을 더 빨리 늘릴 수 있겠죠!

 

 

게다가 총급여 7천만 원 이하인 무주택 가구주는 올해부터 연간 300만 원 한도로 청약통장 연간 납입액의 40%를 소득공제받을 수 있어요!

 

 

다만, 모든 사람들의 인정금액이 오르는 것이기 때문에 이게 정말 당첨선을 앞당길 수 있을지는 미지수예요..

 

 

현재는 보통 1200만 원 ~ 1500만 원으로 최소 10년간 10만 원씩 연체 없이 넣어야 했지만, 이 금액 자체가 올라갈 수 있다고 생각해요!

(이건 제 개인적인 생각이니 참고만 해주세요..ㅎㅎ)

 

저축총액 계산 방법

 

저축총액은 간단하게 매달 납입한 금액의 합계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매달 10만 원씩 3년 동안 납입했다면 저축총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돼요

10만원 * 36개월(1년 12개월 * 3년) = 360만 원
 

공공주택 청약에서의 저축총액

공공주택 청약에서는 저축총액(혹은 납입 횟수)이 매우 중요한데요, 보통 15년 정도 꾸준히 납입해야 당첨 확률이 높아져요.

 
  1. 청약 점수: 청약점수는 청약통장 가입 기간, 납입금액, 무주택 기간 등을 기준으로 산정돼요. 따라서, 청약통장에 꾸준히 저축하는 것이 높은 점수를 받는 비결입니다.
  2. 경쟁력 강화: 청약 경쟁이 치열한 만큼, 많은 사람들이 오랜 기간 동안 청약통장에 저축을 하고 있어요.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꾸준한 저축이 필수적이에요.
  3. 안정적인 계획: 월 10만 원은 비교적 부담 없는 금액으로, 장기적으로 꾸준히 저축하기에 적합한 금액입니다. 근데 사실 전 직장인이 되기 전에는 아르바이트한 수입에서 10만 원도 부담스러웠기 때문에 2만 원이라도 꾸준히 넣고 있었어요..! 청약에는 민영주택도 있으니 꾸준히 넣는 것이 좋다고 판단했거든요!

이에 대한 자세한 글은 아래 글을 참고해 주세요!

2024.07.27 - [부동산 공부] - [부동산 청약]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차이점과 1순위 조건! 이거는 알고 청약하자!

 

[부동산 청약]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차이점! 이거는 알고 청약하자!

안녕하세요, 트리플 S입니다. 부동산 청약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이라는 용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이 두 가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오늘은 국민주택과 민

kksy88.tistory.com

 

 

청약 전략

공공주택 청약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해요:

  • 청약통장 조기 가입: 청약통장은 일찍 가입할수록 유리해요. 가입 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수가 높아지니까요.
  • 꾸준한 납입: 중간에 납입을 중단하지 않고 꾸준히 납입하는 것이 중요해요. 매달 정해진 날짜에 자동이체를 설정해 두면 편리하답니다.
  • 가족 구성원의 활용: 부양가족 수가 많을수록 가점이 높아지기 때문에, 가족 구성원의 상황도 고려해 보세요.

결론

청약통장 저축총액은 청약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예요.

 

매달 10만 원(올해 9월부터는 25만 원)을 꾸준히 납입하여 저축총액을 높이는 것이 공공주택 청약에서 성공하는 비결이랍니다.

 

청약 경쟁이 치열한 만큼, 오랜 기간 동안 꾸준히 준비하는 것이 중요해요.

 

우리가 왜 청약통장을 만들고, 왜 10만 원씩 납입했는지 그 이유를 알고 저축을 한다면 진짜 투자를 한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정리해 보았어요!

 

앞으로도 더 많은 정보를 정리하고 같이 공부해 나갔으면 좋겠어요!

반응형